숭례문

숭례문(崇禮門)은 조선시대 서울을 둘러쌌던 성곽의 정문이다. 흔히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른다. 1396년(태조 5년)에 창건되었다. 1447년(세종 29년)과 1479년(성종 10년) 고쳐 지었다. 숭례문의 현판은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판에 관해 이설이 많다.

서울 4대문 및 보신각(普信閣)의 이름은 오행사상을 따라 지어졌는데, 이런 명칭은 인(仁: 동), 의(義: 서), 례(禮: 남), 지(智: 북), 신(信: 중앙)의 5덕(五德)을 표현한 것이었으며, 숭례문의 "례"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2006년 3월 3일, 숭례문이 도로에 의해 고립되어 버리는 것을 막고 시민들에게 문화재를 가까이 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숭례문의 중앙통로를 일반인에게 개방하였다.

2008년 2월 10일 8시 40분 전후 방화범 채종기의 방화 화재로 인해 불타기 시작해 약 5시간 후인 11일 오전 2시경 목조 건물 일부와 석축 기반을 남기고 2층 누각이 모두 붕괴되어 소실되었다.

현재는 서울 중구청에서 외부인의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가림막이 설치되었고, 기온이나 강수, 바람 등 기상요인에 의한 추가 붕괴 방지를 위하여 덮개를 씌운 상태이다. 문화재청에서는 소실된 숭례문을 원형에 가깝게 복구할 계획을 발표하였다.

역사

  • 1395년(조선 태조 4년) - 숭례문 시공
  • 1398년(조선 태조 7년) - 숭례문 준공
  • 태종의 맏아들이던 양녕대군이 숭례문 현액을 씀.
  • 세종 30년(1448년)에 개축했으며, 성종 10년(1479년)에 중수.
  • 1907년 - 일본 황태자가 방한하자 일제는 "대일본의 황태자가 머리를 숙이고 문루 밑을 지날 수 없다"면서 숭례문과 연결된 서울 성곽을 헐어버렸다. 성곽을 헌 자리에 도로와 전차길을 내고, 숭례문 둘레에 화강암으로 일본식 석축을 쌓았고, 문앞에는 파출소와 가로등을 설치했다. 또한 이 때부터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었다. 이 사건으로 현 모양이 확립되었다.
  • 1916년 - 고적급유물보존규칙 공표. 조선총독부에 고적조사위원회 설치
  • 1924년 - 조선총독부가 고적급유물등록대장초록을 간행. 1호 원각사지십층석탑 등 193점의 유물을 등록함. 숭례문과 흥인지문은 없었다.
  • 1933년 8월 9일 - 제령 제6호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 공포
  • 1934년 -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에 따라, 조선총독부는 보물 1호로 숭례문을, 보물 2호로 흥인지문을, 보물 3호에 원각사지십층석탑을, 보물 4호로 보신각종을 지정하였다.
  • 1961년 - 한국전쟁 때의 파손을 복구하기 위해 전면 해체 중수작업에 착수.
  • 1962년 - 한국 정부는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지정을 참고해서 남대문을 국보 1호, 원각사지십층석탑을 국보 2호, 동대문을 보물 1호, 보신각종을 보물 2호로 각각 지정.
  • 1963년 - 해체 중수공사 완료.
  • 1994년 11월 - 미술전문지 「가나아트」 40호가 미술인 70명에게 여론조사한 결과 서울의 랜드마크로 국보 1호 남대문이 33표로 1위로 선정되었다.
  • 2002년 2월 - 문화재위원회는 서울시의 숭례문 근접 관광 계획을 불허했다. 불허 이유는 차량으로 인해 관람객이 위험에 처할 수 있고 복잡한 도로사정으로 숭례문을 차분하게 감상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 2003년 - 일제가 1907년에 헐어버린 서울 성곽을 숭례문 좌우로 10m씩 복원했다.
  • 2003년 9월 - 일제는 돈의문 등 조선의 왕성인 궁궐과 성곽을 항일의 상징으로 보고 철저히 파괴했으나,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숭례문을 지나갔으며,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흥인지문을 지나갔기 때문에 역사적 가치가 있다며 보존했다고, 2002년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오타 히데하루(太田秀春) 일본 도호쿠대 특별연구원이 서울대 국사학과 기관지인 ‘한국사론’ 49집에 발표한 논문에서 밝혔다.
  • 2005년 5월 27일 - 1907년 일제에 의해 도로 속에 고립되었던 숭례문 주변에 광장을 조성·단장함.
  • 2006년 3월 3일 - 중앙통로를 시민들에게 개방, 일반인 출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 2008년 2월 10일 - 숭례문에 방화로 인한 화재 발생.
  • 2008년 2월 11일 - 석축과 1층 일부만을 남겨놓고 2층 문루의 90%와 1층 문루의 10%가 타 버림

특징

숭례문은 중앙에 홍예문이 있는 기반 위에 지어진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건물이다. 홍예문에는 철이 덧씌워진 큰 문이 양쪽으로 달려 있다. 기단 위로는 얕은 담을 두르고, 좌우 양쪽에는 작은 문과 계단이 있어 드나들 수 있게 하였다. 전형적인 다포형식의 건물로 평가된다.

숭례문 현판

숭례문의 현판을 누가 썼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과 《신증동국여지승람》,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에 따르면 "양녕은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났으나 글을 알지 못하는 척했다. 스스로 미친척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지만 아무도 양녕의 진심을 아는 이가 없었다."라고 전하듯이 양녕대군이 썼다고 되어 있으나 여러 이설이 존재한다. 추사 김정희의 《완당 전집》에는 조선 초기의 문신인 신장의 글씨라고 적혀 있으며,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숭례문이라는 이름은 삼봉 정도전이 지은 것이요, 그 액자는 세상에서 전하기를 양녕대군의 글씨라 한다”면서도 “숭례문의 편액은 정난종이 쓴 것”이라고 썼다.

일제 강점기 때 잡지인 《별건곤》 1929년 9월호에는 “안평대군의 글씨는 오해요, 중종시대 명필 유진동의 글씨”라고 남겨져 있다.

서울 성곽의 다른 문과 일반적인 문들의 현판들은 대부분 가로로 달려 있지만, 숭례문의 현판은 특이하게 세로로 만들어져 있다. 이는 관악산의 화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세로로 달았다고 전해진다.

2008년 2월 10일 숭례문 화재로 인해 편액의 손실을 우려해 숭례문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현판이 추락하여 그 충격으로 일부 목재편이 탈락, 결실 및 부분 균열되었다. 또한 현판의 테두리목도 여러 조각으로 파손되고 일부 결실된 상태이다. 그러나 해당 결실편을 현장에서 95%정도 확보함에 따라 원형 보존처리에는 이상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리한 편액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로 이송되어 보존처리될 예정이다. 이송 후 관련 문헌과 자료를 검토함과 동시에, 그간 국립고궁박물관의 사전응급조사 및 자문결과를 기초로 과학적 상태조사(X선, 적외선 촬영 등)를 거쳐 손상부분의 접착복원 등 숭례문 현판의 정밀보존처리를 진행할 예정이며 처리기간은 6개월 이상 소요예정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숭례문 현판은 총 38조각이 났으며, 2009년 5월 말에 복원이 완료될 예정이다.

국보 1호 변경 논란

1996년 11월, 국보 1호 변경 주장이 이슈가 되어, 문화재관리국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서울대가 자체학생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하였다. 서울 시민 1,000명 중 67.6%가 변경에 반대했다. 문화재전문가 144명(문화재위원 49명,전문위원 95명)의 59.2%가 변경에 반대했다. 반면, 서울대 학부 및 대학원생 262명 중 57%(150명)가 변경에 찬성했다. 변경 찬성 대답자들은 훈민정음을 1위로 지지했다. 2005년 11월, 감사원은 국보 1호를 변경할 것을 문화재청에 권고했으며,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국보 1호 변경에 찬성했다.

흥인지문과 숭례문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통과하여 철수한 문으로 지적되어 일제 강점기 때 보존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1934년 조선총독부는 보물 1호에 남대문을, 보물 2호에 동대문을 각각 지정하였다. 해방 이후에도 남대문과 동대문은 각각 국보 1호와 보물 1호로 지정되었다.

변경 반대론

  • 국보 제1호의 번호는 문화재의 가치순서가 아닌 단순한 관리번호이다.
  • 문화재의 가치에 우열을 매긴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 교체시에는 국내외의 각종 문헌자료를 수정해야 하는 등 혼란을 초래한다

변경 찬성론

  • 남대문은 국보로서 대표성이 없다
  • 역사적 예술적 가치 부족
  • 일제가 일방적으로 지정했기 때문

숭례문 방화 사건

Шаблон:본문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40분 경, 방화범 채종기의 방화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여 현장에 수십여대 소방차가 출동하여 진화작업을 펼쳤으나, 2월 11일 0시 경에 건물 천장에서부터 화염이 일었고, 오전 1시쯤부터는 2층 누각이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 결국 화재 5시간 만인 오전 1시 50분경 불에 타지 않는 석축을 제외한 1, 2층 목조 누각이 대부분 전소하여 많은 시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모두 붕괴되었다.

초기 수사당국에서는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화재인지, 고의적인 방화에 의한 화재인지 의견이 엇갈리다가 화재 발생 후에도 숭례문의 전등이 꺼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누전사고는 아닌 것으로 보고 방화 가능성에 무게를 두어 수사한 결과, 목격자의 진술을 토대로 이미 창경궁 문정전에 방화한 전과가 있는 방화범인 채종기를 검거하였다.

하지만 600년 가까이 이어져오던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중 하나가 이미 소실된 후였고, 이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크나큰 아픔으로 남게 되었다. 이에 문화재청은 숭례문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할 계획을 밝히고 현재 복원작업을 진행중이며, 2008년 8월 15일 일반 시민들에게 숭례문 복원현장을 공개했다.

복원

복구현장에서 숭례문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 울타리(일제강점기에 설치됨) 안쪽에서, 한국전쟁 이후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지하벙커(깊이 2m, 너비 2m, 길이 3m 가량)가 발견되었다. 문화재청은 이를 철거하기로 했다.

또한, 문화재청은 옛 성곽자리를 그림으로도 복원하겠다고 밝히며 도로위에 옛 성곽자리를 표시했다.

문화재청에서는 국민적 정서를 감안하여 대한민국의 국보 1호였던 숭례문이 불타 소실된 자리에 숭례문의 잔해를 기초로 하여 숭례문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형태를 복원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공사중이다.

교통

  • 새마을호,무궁화호,KTX 서울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 서울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 서울 지하철 4호선 회현(남대문시장)역

주석과 참고자료

Шаблон:Reflist

같이 보기

  • 2008년 숭례문 방화 사건

바깥 고리

Шаблон:좌표도분초/상단 Шаблон:Commonscat

다음 범주에 나열:
댓글 달기
팁 & 힌트
Russell Hirschorn
2015년8월11일
Palace a short walk from Seoul station and close to Namdaemun market. Very pretty and a quick visit. Stop by the patch shop on the main road.
Jernej
2017년4월20일
Sungnyemun also know as Namdaemun is one of eight gates from old city wall which in old days surrounded Seoul. Also designated as first national treasure of South Korea. Check opening hours!
Ruben Garcia Mohedano
2018년12월17일
It’s wrapped by buildings on any side and sits in a roundabout, which unfortunately makes the view not that impactful. It’s a short walk from Seoul Station so it’s worth the visit if you have time.
turux1
2014년3월29일
南大門 ソウルの高層ビルが建つ中にポッとこういうのがいきなりあるから面白い。そして南大門付近の市場で靴下12足で12,000ウォンで購入。流石に12足も要らないので一緒に行った友人と6足ずつ購入。スーパーコピーあるよ?と日本語で声をかけられるのに苦笑。何で日本人ってわかるんだろ?w
Edward L
2011년11월4일
1395년(태조4) 시작 ~ 1398년(태조7) 완성, 1447년(세종29) 개축, 2008년 화재.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호로 지정.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물(木造建物)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지만 2008년 2월 10일에 발생한 화재로 2층 문루 소실, 1층 문루 일부 화재로 홍예문과 석축만 남음. 현재 수리 중
Soo Hyeong Lee
2018년10월1일
남대문 시장 에서 바라본
댓글 더로드
foursquare.com
8.5/10
10,666 사람들은 여기에왔다
THE PLAZA Seoul, Autograph Collection

출발 $199

Arban Hotel

출발 $0

President Hotel

출발 $89

New Kukje Hotel

출발 $82

New Seoul Hotel

출발 $63

Hotel Boutique 9

출발 $94

근처의 추천 명소

모두보기 모두보기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남대문시장

남대문시장(南大門市場)은 서울특별시 중구, 숭례문(남대문) 부근 동쪽에 위치한 종합재래시장이다. 서울 지하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서울로 7017

서울로 7017은 '1970년 만들어진 고가도로가 2017년 17개의 사람이 다니는 길로 다시 태어난다'는 뜻에서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한국은행

한국은행(韓國銀行, Bank of Korea)은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이자 대한민국 원화의 발권은행이다. 보통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이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환구단

환구단(圜丘壇)은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단(壇)이다. 원구단(圓丘壇)이라고도 하는데, 예로부터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서울특별시청사

서울특별시 청사(서울特別市 廳舍)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청의 옛 행정 건물이다.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은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보여주는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보신각

보신각(普信閣)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사거리에 있는 전통 한옥 누각이다. 보신각종을 걸어 놓기 위해 만든 것으로 정면 5

비슷한 관광 명소

모두보기 모두보기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Mecca Gate

The Gate of Mecca, Mecca Gate or Makkah Gate (Arabic: ‎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Jaffa Gate

Jaffa Gate (Hebrew: שער יפו Sha'ar Yafo, Arabic: باب الخليل B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가미나리몬

가미나리몬(Шаблон:Ja-y)은 센소 사의 문으로, 다이토 구 아사쿠사에 있다. 가미나리몬 오른쪽에는 바람의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Torres de Serranos

The Torres de Serrans (Шаблон:IPA-ca; español. Torres de Serran

위시리스트에 추가
나는 여기에 있었던
방문
푸에르타 데 알칼라

푸에르타 데 알칼라(스페인어: Puerta de Alcalá→알칼라 문)는 스페인 마드리드

모든 유사한 장소를 참조하십시오